[프로그래머스/Lv2] 오픈채팅방
문제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는 친구가 아닌 사람들과 대화를 할 수 있는데, 본래 닉네임이 아닌 가상 닉네임을 사용하여 채팅방에 들어갈 수 있다.
신입사원인 김크루는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을 개설한 사람을 위해, 다양한 사람들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지켜볼 수 있는 관리자창을 만들기로 했다. 채팅방에 누군가 들어오면 다음 메시가 출력된다.
'[닉네임]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 누군가 나가면 다음 메시지가 출력된다.
'[닉네임]님이 나갔습니다.'
채팅방에서 닉네임을 변경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이다.
1. 채팅방을 나간 후, 새로운 닉네임으로 다시 들어온다.
2. 채팅방에서 닉네임을 변경한다.
닉네임을 변경할 때는 기존에 채팅방에 출력되어 있던 메시지의 닉네임도 모두 변경된다.
예를 들어, 채팅방에 'Muzi'와 'Prodo'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사람이 순서대로 들어오는 채팅방에는 다음과 같이 메시지가 출력된다.
'Muzi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 있던 사람이 나가면 채팅방에는 다음과 같이 메시지가 남는다.
'Muzi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Muzi님이 나갔습니다.'
Muzi가 나간 후 다시 들어올 때, Prodo라는 닉네임으로 들어온 경우 기존에 채팅방에 남아있던 Muzi도 Prodo로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은 중복 닉네임을 허용하기 때문에, 현재 채팅방에서 Prodo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사람이 두 명 있다.
이제, 채팅방에 두 번째로 들어왔던 Prodo가 Ryan으로 닉네임을 변경하면 채팅방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Ryan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 들어오고 나가거나, 닉네임을 변경한 기록이 담긴 문자열 배열 recor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기록이 처리된 후, 최종적으로 방을 개설한 사람이 보게 되는 메시지를 문자열 배열 형태로 반환하는 함수를 만들어야 한다.
제한사항
1. records는 다음과 같은 문자열이 담긴 배열이며, 길이는 1 이상 100,000 이하이다.
2. 다음은 records에 담긴 문자열에 대한 설명이다.
-> 모든 유저는 [유저 아이디]로 구분한다.
-> [유저 아이디] 사용자가 [닉네임]으로 채팅방에 입장 - 'Enter [유저 아이디] [닉네임]' (ex. 'Enter uid1234 Muzi')
-> [유저 아이디] 사용자가 채팅방에서 퇴장 - 'Leave [유저 아이디]' (ex. 'Leave uid1234')
-> [유저 아이디] 사용자가 닉네임을 [닉네임]으로 변경 - 'Change [유저 아이디] [닉네임]' (ex. 'Change uid1234 Muzi')
-> 첫 단어는 Enter, Leave, Change 중 하나이다.
-> 각 단어는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알파벳 대문자, 소문자, 숫자로만 이루어져있다.
-> 유저 아이디와 닉네임은 알파벳 대문자, 소문자를 구별한다.
-> 유저 아이디와 닉네임의 길이는 1 이상 10 이하이다.
-> 채팅방에서 나간 유저가 닉네임을 변경하는 등 잘못 된 입력은 주어지지 않는다.
코드
def solution(record):
answer = []
user_dict = {}
for log in record:
split_log = log.split(' ')
if split_log[0] == 'Leave':
pass
else:
user_dict[split_log[1]] = split_log[2]
for log in record:
split_log = log.split(' ')
name = user_dict[split_log[1]]
if split_log[0] == 'Enter':
answer.append(f'{name}님이 들어왔습니다.')
elif split_log[0] == 'Leave':
answer.append(f'{name}님이 나갔습니다.')
else:
pass
return answer
설명
설명도 길고 제한사항도 많아서 복잡해 보이는데 문제 자체는 쉽다.
일단 문제를 천천히 읽고 잘 이해한 뒤에 코드를 짜면 쉽게 짜인다.
닉네임 변경이 이 문제의 핵심인 것 같은데,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다.
그냥 각 uid별로 가장 마지막 로그의 닉네임이 최종 닉네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딕셔너리로 uid별 닉네임을 기록해서 그 닉네임에 맞게 채팅을 출력하면 된다.
user_dict = {}
for log in record:
split_log = log.split(' ')
if split_log[0] == 'Leave':
pass
else:
user_dict[split_log[1]] = split_log[2]
user_dict는 uid별 닉네임을 기록할 딕셔너리이다.
record의 로그(log)를 하나씩 꺼내며 반복한다.
log를 공백을 기준으로 split해준다(split_log에 저장).
split_log의 첫번째 원소가 'Leave'라면 넘어간다. Leave에는 유저 닉네임이 기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다면 split_log[1](uid)를 키로 하는 split_log[2](닉네임)를 딕셔너리에 기록한다.
반복하면서 uid별로 가장 마지막 닉네임이 user_dict에 저장될 것이다.
for log in record:
split_log = log.split(' ')
name = user_dict[split_log[1]]
if split_log[0] == 'Enter':
answer.append(f'{name}님이 들어왔습니다.')
elif split_log[0] == 'Leave':
answer.append(f'{name}님이 나갔습니다.')
else:
pass
다시 record의 로그(log)를 하나씩 꺼내며 반복한다.
log를 공백을 기준으로 split해준다(split_log에 저장).
user_dict 딕셔너리에 split_log[1](uid)을 검색해서 그 값을 name에 저장해둔다.
split_log[0](행동)를 검사해서 각 상황별에 맞게 채팅을 만든다.
만든 채팅은 answer 리스트에 append한다.
return answer
answer를 반환한다.
'코딩테스트 > 연습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Lv2] 피로도 (0) | 2022.11.10 |
---|---|
[프로그래머스/Lv2] 주식가격 (0) | 2022.11.09 |
[프로그래머스/Lv2] 더 맵게 (0) | 2022.11.08 |
[프로그래머스/Lv2] [3차] 압축 (0) | 2022.11.07 |
[프로그래머스/Lv2] 주차 요금 계산 (0) | 202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