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Lv2] [3차] 압축
문제
신입사원 어피치는 카카오톡으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압축하여 전송 효율을 높이는 업무를 맡게 되었다.
메시지를 압축하더라도 전달되는 정보가 바뀌어서는 안 되므로, 압축 전의 정보를 완벽하게 복원 가능한 무손실 압축 알고리즘을 구현하기로 했다.
어피치는 여러 압축 알고리즘 중에서 성능이 좋고 구현이 간단한 LZW 압축을 구현하기로 했다.
LZW 압축은 다음 과정을 거친다.
1. 길이가 1인 모든 단어를 포함하도록 사전을 초기화한다.
2. 사전에서 현재 입력과 일치하는 가장 긴 문자열 w를 찾는다
3. w에 해당하는 사전의 색인 번호를 출력하고, 입력에서 w를 제거한다.
4. 입력에서 처리되지 않은 다음 글자가 남아있다면(c), w+c에 해당하는 단어를 사전에 등록한다.
5. 단계 2로 돌아간다.
압축 알고리즘이 영문 대문자만 처리한다고 할 때, 사전은 다음과 같이 초기화된다.
색인 번호 | 1 | 2 | 3 | ... | 24 | 25 | 26 |
단어 | A | B | C | ... | X | Y | Z |
예를 들어 입력으로 KAKAO가 들어온다고 하자.
1. 현재 사전에는 KAKAO의 첫 글자 K는 등록되어 있으나, 두 번째 글자까지인 KA는 없으므로, 첫 글자 K에 해당하는 색인 번호 11을 출력하고 다음 글자인 A를 포함한 KA를 사전에 27번째로 등록한다.
2. 두 번째 글자 A는 사전에 있으나, 세 번째 글자까지인 AK는 사전에 없으므로, A의 색인 번호인 1을 출력하고 AK를 사전에 28번째로 등록한다.
3. 세 번째 글자에서 시작하는 KA가 사전에 있으므로, KA에 해당하는 색인 번호 27을 출력하고, 다음 글자 O를 포함하는 KAO를 29번째로 등록한다.
4. 마지막으로 처리되지 않은 글자 O에 해당하는 색인 번호 15를 출력한다.
이 과정을 거쳐 KAKAO가 색인 번호 [11, 1, 27, 15]로 압축된다.
입력으로 영문 대문자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msg가 주어진다.
주어진 문자열을 압축한 후의 사전 색인 번호를 배열로 출력하는 함수를 만들어야 한다.
제한사항
1. msg의 길이는 1 이상 1000 이하이다.
코드
def solution(msg):
word_dict = {
'A' : 1,
'B' : 2,
'C' : 3,
'D' : 4,
'E' : 5,
'F' : 6,
'G' : 7,
'H' : 8,
'I' : 9,
'J' : 10,
'K' : 11,
'L' : 12,
'M' : 13,
'N' : 14,
'O' : 15,
'P' : 16,
'Q' : 17,
'R' : 18,
'S' : 19,
'T' : 20,
'U' : 21,
'V' : 22,
'W' : 23,
'X' : 24,
'Y' : 25,
'Z' : 26
}
word_num = 26
answer = []
while len(msg) != 0:
for i in reversed(range(1, len(msg)+1)):
try:
answer.append(word_dict[msg[0:i]])
word_num += 1
word_dict[msg[0:i+1]] = word_num
msg = msg[i:]
break
except:
pass
return answer
설명
문제에서 설명한 과정과 다르게
문자열의 첫 글자부터가 아니라 첫 글자부터 마지막 글자까지의 문자열을 사전에 검색하면서 확인해볼 것이다.
문자열크기는 반복하면서 하나씩 줄인다.
word_dict = {
'A' : 1,
'B' : 2,
'C' : 3,
'D' : 4,
'E' : 5,
'F' : 6,
'G' : 7,
'H' : 8,
'I' : 9,
'J' : 10,
'K' : 11,
'L' : 12,
'M' : 13,
'N' : 14,
'O' : 15,
'P' : 16,
'Q' : 17,
'R' : 18,
'S' : 19,
'T' : 20,
'U' : 21,
'V' : 22,
'W' : 23,
'X' : 24,
'Y' : 25,
'Z' : 26
}
word_num = 26
word_dict는 알파벳들의 색인 번호를 저장해둔 딕셔너리이다.
word_num은 현재 word_dict의 마지막 색인 번호를 기록해둔 변수이다.
answer = []
answer배열에 사전 색인 번호를 저장하여 반환할 것이다.
while len(msg) != 0:
입력으로 받은 msg의 길이가 0이 될 때까지 반복한다.
for i in reversed(range(1, len(msg)+1)):
try:
answer.append(word_dict[msg[0:i]])
word_num += 1
word_dict[msg[0:i+1]] = word_num
msg = msg[i:]
break
except:
pass
1부터 msg의 길이+1까지 거꾸로 숫자를 꺼내며 반복한다.
word_dict에 msg의 0부터 i까지의 문자열이 기록되어 있다면
answer에 그 문자열의 색인 번호를 append한다.
그 후 word_num에 1을 더하고 msg의 0부터 i+1까지의 문자열을 키로 갖는 word_num값을 딕셔너리에 기록한다.
msg를 msg[i:]로 초기화하고 반복문을 강제로 종료한다.
만약 word_dict에 msg의 0부터 i까지의 문자열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면
아무런 동작없이 넘어간다.
return answer
while 반복문이 끝나면 answer를 반환한다.
'코딩테스트 > 연습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Lv2] 오픈채팅방 (1) | 2022.11.09 |
---|---|
[프로그래머스/Lv2] 더 맵게 (0) | 2022.11.08 |
[프로그래머스/Lv2] 주차 요금 계산 (0) | 2022.11.04 |
[프로그래머스/Lv2] 타겟 넘버 (0) | 2022.11.03 |
[프로그래머스/Lv2] k진수에서 소수 개수 구하기 (0) | 2022.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