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15 / 제목 제공
- 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0
- 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1 / 적절한 대체 텍스트 제공
- 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2 / 자막제공
- 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3 /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
- 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4 / 명확한 지시 사항 제공
- 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5 / 텍스트 콘텐츠의 명도 대비
- 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6 / 자동 재생 금지
- 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7 / 콘텐츠 간의 구분
- 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8 / 키보드 사용 보장
- 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9 / 초점 이동
- 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10 / 조작 가능
- 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11 / 응답 시간 조절
- 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12 / 정지 기능 제공
- 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13 / 깜빡임과 번쩍임 사용 제한
- 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14 / 반복 영역 건너뛰기
페이지, 프레임, 콘텐츠 블록에는 적절한 제목을 제공해야 한다.
오류 사례와 준수 사례
웹 페이지의 제목은 유일하고 서로 다르게 제공해야 한다.
여러 페이지가 열려 있는 경우 비장애인들도 제목만 보고 구분하여 빨리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크린리더 사용자또한 웹 페이지의 제목이 전부 똑같이 제공되어 있거나 내용과 다르게 제공되어 있으면 인식하기 힘들다.
또한 페이지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일 하위분류로 적절하게 제공해야 한다.
뉴스 상세 페이지 제목도 마찬가지로 해당 뉴스에 대한 타이틀을 제목으로 제공해야 하며 게시판의 경우에도 글 읽기, 글 보기, 글 목록 등 각각의 게시판의 용도에 맞게 페이지 제목을 제공해야 한다.
프레임이나 아이프레임에도 각 프레임을 설명하는 간단 명료한 제목을 제공해야 한다.
내용이 없는 빈 프레임의 경우에도 '빈 프레임', '내용없음' 등으로 제목을 제공해야 한다.
콘텐츠 블록에도 제목을 제공해야 한다.
주의해야할 사항은 콘텐츠를 제목으로 제공할 때 그 콘텐츠와 동일한 depth에 있는 콘텐츠는 동일한 헤딩 태그로 일관성 있게 제목을 제공해야 한다.
연속된 특수 기호를 사용하면 스크린리더기에서 불필요한 음성을 반복하기 때문에 시각적인 목적을 위한 특수 기호는 제공되지 않아야 하며 특수 기호는 1개 까지만 사용 제한을 두고 있다.
페이지, 프레임, 콘텐츠 제목 모두 동일하다.
부스트코스의 강의 내용을 정리한 포스트입니다.
https://www.boostcourse.org/web344
웹 UI 개발
부스트코스 무료 강의
www.boostcourse.org
'공부 > 웹 UI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17 / 기본 언어 표시 (0) | 2023.03.15 |
---|---|
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16 / 적절한 링크 텍스트 (0) | 2023.03.15 |
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14 / 반복 영역 건너뛰기 (0) | 2023.03.15 |
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13 / 깜빡임과 번쩍임 사용 제한 (0) | 2023.03.15 |
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12 / 정지 기능 제공 (0) | 2023.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