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접근성 지침(KWCAG에 대해) - 11 / 응답 시간 조절

2023. 3. 15. 11:50

시간 제한이 있는 콘텐츠는 응답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 시간 제한이 있더라도 온라인 경매, 실시간 게임 등과 같이 반응 시간의 조절이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 검사 항목이 적용되지 않는다.

 

* 다만, 이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시간 제한이 있다는 것을 미리 알려주고, 종료되었을 경우에도 알려줘야 한다. 세션 시간이 20시간 이상인 콘텐츠는 예외로 한다.

 

 

오류 사례와 준수 사례

 

웹 콘텐츠 제작 시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는 가급적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하며,

보안 등의 사유로 시간제한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회피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시간 연장 불가능

은행 사이트의 경우 보안을 위해 로그인 시간에 제한이 있는 경우가 많다.

아무런 공지 없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는 경우도 오류이지만 종료 시간을 공지하고 있어도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지 않으면 마찬가지로 오류이다.

 

시간 연장 가능

반응 시간이 완료되기 전에 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하고 반응 시간 조절 기능은 최소 20초 이상의 충분한 시간을 두고 사전에 알려주어야 한다.

 

 

페이지 자동 전환

페이지 진입 시 바로 리프레시되는 것이 아니라 Meta 요소의 refresh 속성 등을 사용하여 일정 시간이 지난 뒤 페이지가 자동으로 전환되는 경우도 오류이다.

 

페이지 자동 전환 해제 기능 추가

따라서 사용자에게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거나 이를 해제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해야 한다.

스크린리더 사용자와 키보드 사용자도 이를 인지하고 수단까지 가는데 시간이 부족하지 않아야 한다.


부스트코스의 강의 내용을 정리한 포스트입니다.

https://www.boostcourse.org/web344 

 

웹 UI 개발

부스트코스 무료 강의

www.boostcourse.org

BELATED ARTICL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