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Lv2] [3차] n진수 게임

2022. 11. 14. 12:27

문제

튜브가 활동하는 코딩 동아리에서는 전통적으로 해오는 게임이 있다.

이 게임은 여러 사람이 둥글게 앉아서 숫자를 하나씩 차례대로 말하는 게임인데, 규칙은 다음과 같다.

 

1. 숫자를 0부터 시작해서 차례대로 말한다. 첫번째 사람은 0, 두번째 사람은 1, ... 열번째 사람은 9를 말한다.

2. 10 이상의 숫자부터는 한 자리씩 끊어서 말한다. 즉 열한번째 사람은 10의 첫번째 자리수인 1을, 열두번째 사람은 두번째 자리수인 0을 말한다.

 

이렇게 게임을 진행할 경우

0, 1, 2, 3, 4, 5, 6, 7, 8, 9, 1, 0, 1, 1, 1, 2, 1, 3, 1, 4, ...

순으로 숫자를 말하면 된다.

 

한편 코딩 동아리 일원들은 컴퓨터를 다루는 사람답게 이진수로 이 게임을 진행하기도 한다.

이 경우는,

0, 1, 1, 0, 1, 1, 1, 0, 0, 1, 0, 1, ...

순으로 숫자를 말하면 된다.

 

이진수로 진행하는 게임에 익숙해져 질려가던 사람들은 좀 더 난이도를 높이기 위해 이진법에서 십육진법까지 모든 진법으로 게임을 진행해보기로 했다.

숫자 게임에 익숙하지 않은 튜브는 게임에 져서 벌칙을 받는 굴욕을 피하기 위해,

자신이 말해야 하는 숫자를 스마트폰에 미리 출력해주는 프로그램을 만들려고 한다.

 

진법 n, 미리 구할 숫자의 개수 t, 게임에 참가하는 인원 m, 튜브의 순서 p가 주어질 때

튜브가 말해야 하는 숫자 t개를 공백 없이 차례대로 나타낸 문자열을 반환하는 함수를 만들어야 한다.

이때, 10~15는 A~F로 출력한다.

 

 

제한사항

1. n은 2 이상 16 이하인 자연수

2. t는 1 이상 1000 이하인 자연수

3. m은 2 이상 100 이하인 자연수

4. p는 1 이상 m 이하인 자연수

 

 

코드

def solution(n, t, m, p):
    def convert_notation(n, base):
        T = '0123456789ABCDEF'
        quotient, remainder = divmod(n, base)

        return convert_notation(quotient, base) + T[remainder] if quotient else T[remainder]

    num_list = ''
    for i in range(t*m):
        num_list += convert_notation(i, n)

    answer = ''
    for i in range(len(num_list)):
        if len(answer) == t:
            break
        if i % m == p-1:
            answer += num_list[i]

    return answer

 

 

설명

def convert_notation(n, base):
    T = '0123456789ABCDEF'
    quotient, remainder = divmod(n, base)

    return convert_notation(quotient, base) + T[remainder] if quotient else T[remainder]

n진수 변환함수이다.

base에 원하는 진수를 넣고, n에 원하는 숫자를 넣으면 base진수 변환된 값이 문자열로 반환된다.

 

num_list = ''
for i in range(t*m):
    num_list += convert_notation(i, n)

0부터 txm 까지 n진수 변환하여 num_list에 공백없이 붙인다.

txm까지인 이유는 t개를 말하려면 적어도 모든 인원이 t번은 말할 수 있는 숫자가 존재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부분은 정확하지는 않은데, 어떻게 풀어도 문제는 풀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while문으로 0부터 계속 반복해서 반환할 문자열의 길이가 t가 되면 멈추는 방법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answer = ''
for i in range(len(num_list)):
    if len(answer) == t:
        break
    if i % m == p-1:
        answer += num_list[i]

0부터 num_list의 길이까지 숫자(i, 인덱스)를 꺼내며 반복한다.

만약 현재 answer의 길이가 t와 같다면 반복문을 강제 종료한다.

인덱스에 m(인원수)을 모듈러 연산한 값이 p-1(순서) 이라면 answer에 num_list[i] 값을 더한다.

 

return answer

answer를 반환한다.

BELATED ARTICLES

more